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휴대폰 보조금 추가 지급 모델

알아두자 IT정보

by 변덕춘 2007. 4. 29. 22:57

본문

반응형
휴대폰 ‘보조금 특수’ 물건너가나
 
[파이낸셜뉴스 2007-04-29 18:27]    
 

 

 

‘얼어붙은 휴대폰 시장에 봄은 찾아 올 것인가.’

오는 5월 말에 나올 이통사들의 보조금 전략이 모습을 드러내면서 당초 예상대로 ‘5월 이동통신 특수’가 나타날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현재 드러난 휴대폰 추가보조금 규모는 3만∼5만원 규모. 당초 기대됐던 5만∼10만원의 절반 수준에 불과하다. 예상보다 현저히 적은 보조금에 판매점과 소비자들은 당황하는 표정이 역력하다.

 

“별볼일 없을 것 같다” “괜히 기다렸다”는 등의 실망하는 목소리와 함께 소비자들의 불만이 커질 경우 “‘역풍’ 가능성도 있다”는 우려까지 나오고 있다.

 

당장 지금도 얼마든지 공짜폰을 구할 수 있는 상황이어서 가격변동은 미미할 전망이다. 오히려 같은 제품이라 하더라도 지역·시기별로 보조금 액수가 달라진다는 점에서 소비자들의 불만이 쏟아질 가능성도 있다.

 

정통부가 지난 4월 초 ‘보조금 규제 완화’ 정책을 발표하자 소비자들은 보조금이 대폭 늘어날 것으로 보고 구입을 미루는 등 관망세로 일관해 왔다.

 

■기대 수준 이하 보조금 ‘실망’

지난 26일 정통부에 신고된 이통 3사의 보조금 액수는 3만∼5만원 사이다. 대상도 4∼5개 재고 휴대폰으로 한정했고 지역·시기별로 더 줄 수 있는 상한선은 3만원으로 신고했다. 내달 30일부터 인기 없는 재고폰을 지금보다 3만∼5만원, 잘해야 8만원 정도 더 싸게 살 수 있게 된 셈이다. 이통사들이 지금까지 정통부에 재고폰에 대해서는 ‘플러스 알파’의 보조금을 쓰도록 해 줄 것을 줄기차게 요구해 온 것에 비하면 의외다. 당초엔 5월 말쯤 되면 10만원 이상 휴대폰 구입가격이 싸질 것으로 예상됐었다.

 

■업체들, 마케팅비용 부담 커지자 ‘실속’ 선택

이처럼 이통사들이 ‘약관 보조금’을 기대이하로 낮춘 이유는 다름 아닌 마케팅 비용 부담 때문. KTF의 경우 지난 1·4분기 마케팅비용이 전년 동기보다 35.8% 늘어나 영업이익이 38.5% 줄어드는 최악의 성적표를 받은 바 있다. 약관에 많은 금액을 제시하는 것은 자충수나 다름없다는 인식을 갖게 됐다는 것이다. 이통사 한 관계자도 “이번 약관을 만드는 데 마케팅 비용 부담이 우선적으로 고려됐다”고 말할 정도다. ‘추가 보조금 지급 모델’을 재고폰으로 한정한 것도 악성 재고 부담을 줄여보자는 취지로 풀이된다.

 

이같은 이통사들의 ‘보조금 줄이기’ 전략은 시장의 불만으로 이어지고 있다. 29일 서울 용산의 한 휴대폰 매장을 찾은 김세진씨(28·서울 창동)는 “신제품 구입가격은 지금이나 마찬가지 아니냐”며 “잔뜩 기대했지만 실망스럽다”고 말했다.

 

판매점 업체 직원들도 “너무 기대감이 높았던 것 같다”며 “5월에도 휴대폰 판매 시장이 별 볼일 없게 될 것 같아 걱정”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 “자율 속 시장 연착륙할 것”

시장 관계자들은 “시장에 보조금을 둘러싼 혼란이 있지만 내년 3월 보조금 규제가 완전 폐지될 예정이어서 ‘연착륙 과정’으로 이해해야 한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따라서 보조금 제도가 내달 말부터 일부 완화된 이후 나타나는 문제들을 ‘전부’로 인식하면 안된다는게 업계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정통부는 내년 3월이면 약속대로 보조금 규제를 걷어낼 방침이다. 내달부터 시행되는 기종별 추가 보조금 및 일정 범위 내 추가 보조금 허용 방안도 결국 정부가 보조금 전면 자율화를 앞두고 내놓은 ‘연착륙’ 정책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보조금 규제가 폐지되는 내년부터는 보조금 액수는 업체와 시장 상황에 따라 자율적으로 정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내년에 전면 자율화되더라도 그동안 이통사들이 ‘보조금 마케팅=수익성 악화’라는 학습을 해 온 만큼 보조금 액수를 지금보다 높이지 않을 것이라는 게 업계의 관측이다.

 

보조금 금지법은 원래 지난해 3월 일몰됐어야 하지만 이통사·정부·국회의 미묘한 ‘힘겨루기’로 인해 내년 3월까지 2년 연장된 상태다.

 

/wonhor@fnnews.com 허원기자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